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원장 김영주, 이하 기사연)은 정치적으로 악용되고 있는 이른바 보수 개신교 신앙의 실체와 그것이 정치, 사회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합리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통계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 일환으로 기사연은 한국 개신교인의 신앙/종교적 성향에 따른 주요 사회 현안에 대한 인식조사를 아래와 같이 실시했습니다.
?< 아래 >
“개헌에 관한 판단에 보수적 기독교의 영향 미미”
“개헌은 ‘6월 지방선거와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는 응답이 35.1%로 전체 문항 중 1위를 차지”
기사연은 최근 정부가 26일 개헌을 발의하기로 함에 따라, 정치적으로 첨예한 이슈가 되고 있는 개헌에 대한 한국 개신교인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개신교인과 비개신교인 간의 인식 차이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표본 비율을 각각 8:2로 설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다.
먼저,
‘개헌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 개신교인이나 비개신교인 모두 절대다수가 개헌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는데, 다만, 개헌 찬성의 비율이 개신교인의 경우에는 55.8%, 비개신교인의 경우에는 65.0%로, 개신교인의 개헌 찬성 비율이 비개신교인에 비해 9.2%p 낮았다.
개헌 시기에 관한 질문에 대해서도 개신교인과 비개신교인의 결과가 대동소이했는데, 양쪽 모두 ‘6?13 지방선거와 동시에 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만 이 경우에도 개신교인은 35.2%, 비개신교인은 41.9%로 ‘6?13 지방선거와 동시에 해야 한다’는 비율이 비개신교인보다 개신교인의 경우 6.7%p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개헌의 범위를 물어보는 질문과 선호하는 통치구조를 물어보는 질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났다.
개헌의 범위에 대해서는, 통치구조뿐만 아니라 기본권 등 다른 조항들도 수정해야 한다는 포괄개헌을 지지하는 비율이 압도적이었다(개신교인 56%, 비개신교인 69%). 선호하는 통치구조는 개신교인과 비개신교인 모두 가장 많은 사람이
대통령 4년 중임제를 선택했다(개신교인 42%, 비개신교인 55%). 하지만 이 경우에도 개헌의 범위에 대해서와 선호하는 통치구조에 대해서 공히 개신교인의 비율이 13%p 정도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조사 결과는,
개헌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 있어서 개신교인들과 비개신교인들 사이에 큰 차이가 없음을 보여준다. 개신교인인지 아닌지와 상관없이 대한민국의 국민 중 다수가 개헌에 찬성하며, 올해 치러지는 6?13 지방선거에서 개헌하기를 원하고, 헌법 전반에 대한 포괄적인 개헌이 되기를 바라며, 통치구조에 대해서는 대통령 4년 중임제를 선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질문에 대해 다수를 차지하는 개신교인의 비율이 비개신교인의 비율보다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 원인을 밝히기 위해 기사연의 연구팀은 개신교인의 신앙적 성향이 개헌에 관한 판단이나 선호와 관계가 있는지, 있다면 어떤 관계인지를 밝히고자 인데이터랩에 통계 분석을 의뢰하여 검토하였다.
상당수의 개신교인이 신앙생활을 성실하게 하고 있다. 19세 이상의 개신교인 중 74%가 10년 이상 신앙생활을 하고 있으며, 72%가 매주 정기적인 예배에 참석하고 있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보수적 성향의 신앙관은 상당히 약화되었음이 밝혀졌다. 성실한 개신교인의 상당수가 다른 종교에도 진리가 있다고 생각하며(47%), 선하다고 생각한다(58%). 성서에는 오류가 없다고 생각하는 개신교인은 51%로 여전히 다수가 ‘성서무오설’을 지지하고 있지만, 판단을 유보하는 개신교인이 29%, 오류가 있다고 생각하는 개신교인의 비율도 20%나 된다. 구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다른 종교에도 구원이 있다고 생각하는 개신교인이 28%로서 구원이 없다고 생각하는 개신교인의 비율인 46%와 격차는 있으나, 이 또한 통념과 비교할 때 의외의 수치이다.
2018년도의 일반적인 개신교인들은 생각보다 배타적이지도 보수적이지도 않다.
반면, 상관관계 분석과 독립표본 T 검정을 통해 보수적인 신앙이 개헌 찬반 및 개헌 시기와 갖는 관련성을 각각 살펴본 결과, 보수적인 신앙을 가진 개신교인일수록 개헌에 반대하는 경향이 있으며, 개헌에 찬성하더라도 개헌 시기는 늦추기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왜 개신교인이 비개신교인에 비해 개헌에 대한 질문들 각각에서 다수를 차지하는 비율의 값이 약간 낮게 나오는가를 부분적으로 설명한다. 즉, 보수적인 신앙이 개헌에 관한 판단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일 수 있다. 하지만 그렇더라도, 그 영향은 결정적이지 않다.
따라서 보수적인 신앙은 개헌에 대한 개신교인의 판단과 선호가 비개신교인의 판단과 선호와 다른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할 만큼 결정적인 세력을 갖고 있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 조사 개요-
① 표본 구성
조사대상: 만 20~69세 성인 남/녀
샘 플 수: 1,000명(개신교인 800 : 비개신교인 200)
조사지역: 서울 및 16개 시/도
(성/연령/지역을 고려한 인구비례할당 - 2018년 2월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② 조사 방법: 온라인 서베이
③ 조사 기간: 2018년 2월 26일 ~ 3월 7일(10일)
④ 조사 기관: (주)마크로밀 엠브레인
⑤ 통계 분석: 인데이터랩
⑥ 표본오차: 신뢰수준 95% 기준, ±3.1%p
⑦ 연 구 진: 박재형 박사(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신익상 박사(성공회대), 송진순 박사(이화여대), 이상철 박사(한신대)